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덕혜옹주 줄거리,등장인물,국내외 반응

by healthmoneyhappy 2025. 2. 24.

영화 덕혜옹주 포스터

 

 

덕혜옹주 줄거리

영화 덕혜옹주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의 파란만장한 삶을 조명한 작품입니다. 영화는 덕혜옹주가 일본에 강제 끌려간 후, 조국으로 돌아오기 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 됩니다.

 

이야기는 대한제국 시절, 고종 황제의 사랑을 받으며 궁궐에서 자란 어린 덕혜옹주의 모습으로 시작됩니다. 그녀는 조선의 공주로서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나,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운명이 바뀌었습니다. 고종 황제는 일본의 압박 속에서도 딸을 지키려 했지만, 결국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덕혜옹주는 보호자를 잃게 되었습니다.

 

고종 사후, 일본은 덕혜옹주를 일본으로 강제 유학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녀는 조국을 떠나기 싫었지만, 어린 나이에 강제로 일본으로 보내졌습니다. 일본에서 덕혜옹주는 고립된 생활을 했으며, 주변의 감시 속에서 조선의 황녀로서의 자존심을 지키려 했습니다.

 

한편, 덕혜옹주의 어린 시절 친구였던 김장한은 그녀를 구하기 위해 독립운동에 몸을 담고 있었습니다. 장한은 덕혜옹주를 조국으로 데려오기 위해 여러 차례 계획을 세웠지만, 일본의 감시가 심해 쉽게 실행할 수 없었습니다. 덕혜옹주는 일본 귀족과 강제로 정략결혼을 하게 되었고, 이후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아 점점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해방 후, 김장한은 덕혜옹주를 다시 찾기 위해 일본으로 향했습니다. 하지만 덕혜옹주는 정신병원에 갇혀 있었고, 기억조차 온전하지 않았습니다. 김장한은 그녀를 구출하려 했으나, 일본 당국의 방해로 쉽지 않았습니다. 결국 그는 덕혜옹주를 대한민국으로 데려오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했고 마침내 그녀는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조국 땅을 다시 밟게 되었습니다.

 

영화는 귀국 후, 조용한 삶을 살았던 덕혜옹주의 마지막 모습과 함께 마무리됩니다. 대한제국의 황녀였지만, 일본의 지배와 시대의 격변 속에서 평범한 삶조차 누릴 수 없었던 그녀의 안타까운 운명을 통해 역사의 비극을 되새기게 합니다.

 
 

 

등장인물

1. 덕혜옹주(손예진)

덕혜옹주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로, 고종 황제의 늦둥이 딸입니다. 어린 시절 궁궐에서 사랑을 받으며 자랐지만, 대한제국이 일본에 강제 병합되면서 운명이 바뀌었습니다. 일본은 그녀를 강제로 유학 보내 조선 황실의 정통성을 없애려 했습니다. 이후 일본의 강요로 일본 귀족과 정략결혼을 하며 더욱 비극적인 삶을 살게 됩니다. 해방 후에는 정신병원에 감금되어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오랜 세월이 흐른 후 마침내 조국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손예진은 덕혜옹주의 강인하면서도 슬픈 내면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깊은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2. 김장한(박해일)

김장한은 덕혜옹주의 어린 시절 친구이자, 그녀를 끝까지 지키고자 했던 인물입니다. 독립운동을 하며 덕혜옹주를 조국으로 데려오기 위해 여러 차례 위험을 무릅쓰고 일본으로 향합니다. 하지만 일본의 강력한 감시와 시대적 한계 속에서 번번이 실패하게 됩니다. 그는 덕혜옹주가 정신병원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에도 포기하지 않고 그녀를 구출하기 위해 노력하며 깊은 우정을 보여줍니다. 박해일은 극중에서 신념과 인간적인 따뜻함을 동시에 지닌 인물로 설득력 있게 관객들에게 다가갑니다. 

3. 고종 황제(백윤식)

고종 황제는 조선의 국권이 일본에게 빼앗기는 것을 막기 위해 애썼지만, 결국 그의 바램은 이루어 지지 못합니다. 또한 국권이 위태로운 와중에도 딸인 덕혜옹주를 끝까지 지키려 하지만, 일본의 압박 속에서 고립되어 갑작스럽게 생을 마감합니다. 그의 죽음 이후 덕혜옹주는 보호자를 잃고 일본으로 끌려가게 됩니다. 백윤식은 극중에서 무너져가는 왕조 속에 딸을 지키내려는 부성애를 관객들에게 표현해 냅니다.

4. 한택수(최진호)

한택수는 일본과 결탁한 친일파로, 덕혜옹주를 일본에 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조선 황실을 철저히 배신하며, 덕혜옹주의 삶을 비극으로 몰아넣습니다. 최진호는 탐욕스럽고 냉정한 친일파의 모습을 현실감 있게 연기하며 긴장감을 더했습니다.

5. 다케유키(김재욱)

덕혜옹주가 강제로 결혼하게 된 일본인 남편으로, 일본의 귀족 출신입니다. 두 사람의 결혼은 일본이 덕혜옹주의 정통성을 없애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결혼 생활은 행복할 리 없었고, 덕혜옹주는 점점 정신적으로 피폐해져 갔습니다. 김재욱은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 차가운 캐릭터를 섬세하게 연기하며 극의 몰입도를 높였습니다.

이처럼 영화 덕혜옹주는 역사적 인물과 가상의 캐릭터를 결합하여 한 시대의 아픔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반응

1. 국내 반응

영화는 2016년 개봉 당시 국내에서 많은 관심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 하였습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라는 비극적인 역사적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 만큼 관객들에게 감정적으로 깊은 인상을 심어 주었습니다. 개봉 첫 주에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며, 최종적으로 56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 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손예진의 감정 연기가 큰 호평을 받았으며, 박해일과 백윤식 등 배우들의 연기력도 극찬을 받았습니다.

비평적으로는 스토리 전개와 연출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감동적인 이야기와 배우들의 열연이 돋보였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지만, 일부에서는 극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이 과장 되었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덕혜옹주의 삶 자체가 비극적인 만큼,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지나치게 우울하다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역사적 인물을 조명 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작품으로 평가 되고 있습니다.

2. 해외 반응

해외에서는 한국 역사에 관심이 높은 일부 국가 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일본 에서는 덕혜옹주의 이야기가 역사적으로 민감한 주제이긴 하나 예상과는 다르게 큰 논란 없이 조용히 지나갔습니다. 하지만 일부 일본 역사 애호가들 사이에선 일본과의 관계 속에서 조선 왕족이 겪은 비극을 다루었다는 점이 큰 관심을 끌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일본 개봉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극장에서 정식 상영된 사례도 많지 않았습니다.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는 덕혜옹주가 한국 근대사를 다룬 영화라는 점에서 역사 영화 팬들 사이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특히 해외 영화제에선 주연인 손예진의 연기가 주목 받았으며, 섬세한 감정 표현이 뛰어나다는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해외 관객들에게 영화의 내용이 다소 낯설게 다가왔으며 폭넓은 인기를 끌지는 못했습니다.

3. 종합적인 평가

대한민국 역사 속 실존 인물인 덕혜옹주의 일대기를 감동적으로 풀어내며 영화 덕혜옹주는 국내 관객들에게 강한 인상과 안타까움을 남기기에 충분 하였습니다. 해외에서는  한국 영화의 서사적 깊이를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 받았습니다.